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삼성전자 3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

by 인포29 2025. 10. 16.

삼성전자 실적 분석과 전망

 

삼성전자는 2025년 3분기에서 놀라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시장의 기대치를 한 단계 높였습니다. 이에 따라 4분기 실적과 2026년 실적 추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. 아래에서는 3분기 성과를 반영한 4분기 및 2026년 전망, 목표가 시나리오 및 투자 포인트까지 종합 분석해드리겠습니다.

 

 

1. 3분기 실적 되돌아보기

  • 3분기에 삼성전자는 매출 약 86조 원, 영업이익 약 12조 1천억 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.
  • 영업이익은 국내 증권가 예상치를 20% 이상 상회하는 수치였습니다.
  • 이 실적은 메모리 부문의 가격 상승과 HBM 수요 증가, 그리고 전략 제품 중심 매출 확대로 가능했던 반등입니다.
  • 시장은 이번 실적을 ‘하반기 실적 반전의 신호탄’으로 해석하고 있으며, 4분기와 2026년 실적에 대한 전망 또한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.

 

 

2. 4분기 실적 전망

① 매출과 영업이익 추정

  • 다수 증권사는 4분기 매출을 약 80조 원대 초반, 영업이익은 10조 원대 후반~12조 원대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
  • 예를 들어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매출 80.1조 원, 영업이익 12조 원 수준을 예측하며, 이는 3분기의 강세가 어느 정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습니다.
  • 또 다른 전망에 따르면,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파운드리 적자폭 축소가 이루어진다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또다시 웃돌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

② DS(반도체) 부문 중심 실적 개선

  • 4분기부터는 삼성전자가 6세대 HBM (HBM4) 초기 생산에 돌입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이는 고성능 AI 칩 수요 증가와 맞물려 수익성 개선의 핵심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.
  • 일부 분석에서는 DS 부문의 영업이익이 2분기 2조8천억 원 수준에서, 3분기에 6조3천억 원, 4분기에 약 8조1천억 원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.
  • 낸드·D램 가격 상승 흐름이 이어지면서 범용 메모리 부문도 실적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③ 리스크 요소

  • 메모리 가격 반락 또는 수요 둔화
  • HBM4 수율 안정화 실패나 인증 지연
  • 파운드리 사업의 구조적 적자 지속
  • 글로벌 경기 악화, 환율 불안

 

 

3. 2026년 실적 전망과 중장기 전략

  • 증권가 전망에서는 2026년 삼성전자의 매출이 약 350조~370조 원대, 영업이익은 약 50조 원대 중반~60조 원대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
  • 반도체 부문 중심의 수익성 확대와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부문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축이 될 것입니다.
  • HBM4 기반의 AI 수요 확장, 파운드리 가동률 회복, 기술 경쟁력 우위 확보 등의 요소가 실적 향방을 결정할 핵심 요인입니다.
  • 특히 디스플레이 쪽에서는 폴더블 패널, OLED 수요 확대 등이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.

 

 

4. 목표가 시나리오 및 밸류에이션

증권사 목표가 흐름

  • 최근 증권사들은 연달아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상향하고 있습니다. 한화투자증권, SK증권, IBK투자증권 등은 11만 원대 목표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.
  • 미래에셋, NH투자증권 등도 9만 원대 후반에서 11만 원대로 조정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습니다.
  • 골드만삭스는 12개월 목표가를 10만9천 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“HBM/파운드리 회복 기반의 강한 중장기 성장세” 가능성을 강조했습니다.
  • 일부 보수적 증권사는 4분기 실적 불확실성을 반영해 여전히 7~8조 원대 영업이익 전망을 유지하기도 합니다.

시나리오별 목표가

시나리오조건목표가 범위
낙관적 메모리 가격 반등 지속 + HBM4 수율 안정화 + 외부 리스크 제한 12만 원 ~ 13만 원대
기본적 4분기 실적 반등 지속 + 파운드리 적자 일부 축소 10만 원 ~ 11만 원대
보수적 가격 회복 속도 더딤 + 비용 부담 지속 8만 원대 후반 ~ 9만 원대

 

 

5. 투자 전략 포인트

  • 이번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는 낙관적인 기대 요인이지만, 4분기 실적과 2026년 전망이 이를 뒷받침해야 지속 모멘텀이 됩니다.
  • 목표가 상향 흐름이 강한 만큼, 부분 차익 실현 + 조정 구간 재진입 전략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기술적 조정이 있을 경우, 긍정적 실적 흐름을 신뢰하고 재매수 포지션을 분할로 확보하는 전략이 적절합니다.
  • 삼성전자 중심 전략과 동시에 HBM, 반도체 소재/장비, 패키징 업체 등 연관 업종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산이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유리합니다.